알기 쉬운 북한 

북한의 기념일

북한의 군사기념일은 「조선인민군 창건절」(4.25)을 비롯하여 「해군절」(6.5), 「공군절」(8.20), 「포병절」(6.20)등이 있다.

  【 조선인민군 창건절(4.25) 】

  • 북한은 1948년 2월 8일 「조선인민군 창건」을 공식 선포하고 이날을 창군일로 기념해왔다.
  • 그러다가 1978년 2월 '조선인민군은 조선인민혁명군의 직접적인 계승자'라고 주장하면서 창군일을 이른바 김일성이 항일 빨치산 시절 조직했다는 「조선인민혁명군(항일 유격대)」창립일(1932년 4월 25일)인 4월 25일로 변경했다.
  • 북한이 「조선인민군」의 창건일을 빨치산 시절로 소급한 것은 김일성의 항일 무장투쟁의 역사성을 부각·선전하려는 의도라 하겠다.
  • 북한은 창군기념일에 매년 「중앙보고대회」를 개최하고 김일성·김정일의 군부대 방문 등 각종 기념행사를 진행하는 한편 5, 10주기에는 화력시범(87년)이나 열병식(92년, 97년 등)을 진행하여 축하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.
  • 한편 그동안 창군일과 관련하여 군인들만 휴무해왔으나 1996년 4월 23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으로 창군일을 「국가적 명절」로 격상한 후부터 전 군·민이 4.25-26(2일)간 휴식하고 있다.

  【 해군절(6.5) 】

  • 북한은 1972년 6월 3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이른 바 김일성이 '어뢰정대'를 조직했다는 1949년 8월 28일을 「해군절」로 제정, 기념해오다가 1993년에 '수상보안대' 창설일인 1946년 6월 5일로 변경했다.
  • 해군절에는 해군부대만이 휴무하면서 내부적으로 기념보고회를 비롯 체육대회 등 기념행사를 진행하고 있는데, 해군절 50돌인 1996년 6월에는 최초로 군간부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개리에 기념보고회를 개최하고 우수부대에 「김일성 훈장」을 수여한 바 있다.
  • 그리고 1995년부터는 김정일이 해군절에 즈음하여 해군부대를 방문, 부대 운영 및 훈련실태 등을 시찰하고 장병들을 격려하고 있다.

  【 공군절(8.20) 】

  • 북한은 1972년 5월 20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이른바 김일성이 '정규비행대'를 창설했다는 1947년 8월 20일을 「공군절」로 제정했다.
  • 공군절에는 공군부대만이 휴무하면서 내부적으로 기념보고회를 비롯하여 체육대회 등 기념행사를 진행하고 있는데, 공군절 40돌(87.8)과 50돌(97.8) 등 이른바 꺽어진 해에는 군간부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개리에 기념보고회를 개최하고 있다.

  【 포병절(6.20) 】

  • 북한은 1982년 10월 28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으로 이른바 김일성이 항일 빨치산 시절 '태평구(연길 인근)전투에서 첫 포성을 울린 날(1935년 6월 20일)을 기념하기'위해 6월 20일을 「포병절」로 제정하였다.
  • 포병절에는 포병부대만이 휴무하면서 내부적으로 기념보고회를 비롯하여 체육대회 등 기념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, 1998년 6월에는 김정일이 포병부대를 방문하여 포병들의 사기 진작을 독려하기도 했다.

북한의 휴가제도, 공휴일

휴가제도

휴가 종류

휴가 일수

비 고

명절 및 공휴일

연간 15일

 

정기휴가

연간 14일

 

보충휴가

연간 7∼21일

보충휴가는 지하, 고열 및 유해 노동부문이나 중노동부문, 정신적 피로를 많이 받는 부문에서 일하는 종업원에게 직제에 따라 주는 것임.

산전·산후휴가

150일

 

특별휴가

1∼3일

특별휴가는 관혼상제를 위한 것임.

공휴일

설 날

1. 1 (2일간)

음력설

1. 1 (음)

단 오

5. 5 (음)

해방기념일

8. 15

김정일 생일

2. 16(2일간)

추 석

8. 15 (음)

한 식

3. 14(음)

정권창건일

9. 9

김일성생일(태양절)

4. 15(2일간)

노동당창건일

10. 10

국제노동절

5. 1

헌법절

12. 27